Surprise Me!

[CEO풍향계] '두번째 벌금형' 이해욱…'명예의 전당' 정몽구

2021-07-30 3 Dailymotion

[CEO풍향계] '두번째 벌금형' 이해욱…'명예의 전당' 정몽구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기업 CEO들의 일거수일투족을 살펴보는 'CEO 풍향계' 시간입니다.<br /><br />자회사의 상표권 사용 문제로 2억 원의 벌금형을 선고받은 이해욱 DL그룹 회장과 한국인으로는 처음으로 미국 자동차 명예의 전당에 이름을 올린 정몽구 현대차그룹 명예회장의 소식을 배삼진, 한지이 기자가 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74년 만에 간판도 바꿔 달았는데, 새 각오로 출발한 이해욱 DL그룹 회장이 벌금형을 또 선고받았습니다.<br /><br />2016년 운전기사 폭언 혐의로 재판을 받은 이후 두 번째인데요.<br /><br />이번에는 그룹 계열사를 이용해 개인회사를 부당하게 지원했다는 혐의입니다.<br /><br />검찰은 징역 1년 6개월을 구형했는데, 법원은 벌금 2억 원을 선고했습니다.<br /><br />이 회장과 10대인 아들이 100% 지분을 가지고 있는 APD에 그룹 호텔 브랜드인 글래드 상표권을 넘기고, 자회사인 오라관광에서 브랜드 사용료로 31억 원을 받은 혐의로 기소됐습니다.<br /><br />재판부는 이 회장이 공정거래법 위반 가능성을 예견했고, 허위 서류를 작성하기도 했다면서 엄한 처벌이 필요하다고 언급하기도 했는데요.<br /><br />개인적으로는 이득을 취하지 않았다고 판시했습니다.<br /><br />이 회장, 대림에 입사한 지 24년, 회장에 취임한 지도 2년이 됐죠.<br /><br />올 초 인적 분할과 물적분할을 통해 지주사 체제로 그룹을 재편하면서 이 회장의 지배력도 한층 강화됐는데요.<br /><br />건설은 물론 석유화학 분야에도 힘을 실을 것으로 보이는데, 서대문에 들어선 신사옥처럼 앞으로 그룹의 미래도 더 밝아지겠죠.<br /><br />세계 자동차 산업 최고의 명성을 자랑하는 미국 자동차 명예의 전당에 정몽구 현대차그룹 명예회장이 헌액됐습니다.<br /><br />1939년 설립된 미국 자동차 명예의 전당은 세계 자동차 역사에 업적을 남긴 인물을 엄선해 선정하는데요.<br /><br />포드 창업자인 헨리 포드와 크라이슬러 창립자 월터 크라이슬러, 발명가 토머스 에디슨, 벤츠 창립자 카를 벤츠도 이름을 올렸습니다.<br /><br />자동차 산업의 변방이었던 한국을 명실상부한 세계의 중심으로 끌어올렸다는 공로가 인정된 것이죠.<br /><br />IMF 시절, 기아를 인수해 1년 만에 흑자 기업으로 만들었고, 2010년에는 현대차·기아를 세계 5위의 자동차 회사로 키워냈습니다.<br /><br />대리 참석한 정의선 회장은 "아버지가 수많은 위기와 도전을 이겨내고 존재감 없던 회사를 세계적 기업으로 키워내기 위해 평생을 헌신했다"며 찬사를 보냈죠.<br /><br />부전자전, 정 명예회장의 정신은 아들인 정 회장이 그대로 잇고 있는데, 현대차그룹의 변신은 이제 정 회장에게 달려있네요.<br /><br />국내 1위 가상화폐거래소 업비트를 운영하고 있는 두나무의 기업가치가 1조 원을 넘었습니다.<br /><br />이석우 대표 만나볼까요.<br /><br />두나무는 하루 거래액이 수조 원대인 '업비트'는 물론 증권정보서비스인 '증권플러스', 지난해 말부터는 블록체인 기반 증권 펀드 관리 '온보드'도 운영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포털 다음의 '다음 금융'도 두나무가 운영하는 서비스 가운데 하나죠.<br /><br />이 대표는 언론인 출신이자 국제 변호사, 다음과 카카오의 공동대표를 역임한 IT업계의 손꼽히는 전문가입니다.<br /><br />이제는 좀 익숙해졌지만 2017년 블록체인 핀테크 전문기업 두나무로 자리를 옮겼을 때는 좀 의아하다는 생각도 했습니다.<br /><br />낯선 분야에 도전해 어려운 고비마다 승부사 기질로 과감히 헤쳐나간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데, 두나무 대표 취임 이후 암호화폐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올해는 최대 호황을 맞기도 했죠.<br /><br />다만 특검법 시행으로 거래소 관리를 더 엄격하게 해야 하는 부담을 안게 됐고, 올해 9월에는 사업자신고를 앞두고 있어서 규제 당국의 문턱을 넘기 위한 준비가 한창입니다.<br /><br />얼마 전에는 JYP엔터테인먼트의 지분을 인수하는 등 한류스타 IP를 활용한 NFT 사업도 준비 중이죠.<br /><br />이 대표가 앞으로 얼마나 사업 분야를 넓혀갈지 관심입니다.<br /><br />신세계그룹이 올해 M&A 등에 투자한 금액이 5조 원을 넘었습니다.<br /><br />정용진 부회장의 큰 그림이 궁금해지는데요.<br /><br />올해 2월 SK와이번스를 인수하더니, 네이버와 전략적 제휴로 맺었죠.<br /><br />8천억 원대 화성 테마파크 부지도 샀고, 2천억 원 넘게 주고 여성 패션 쇼핑몰 W컨셉도 인수했습니다.<br /><br />아무래도 핵심은 이베이코리아인데, 무려 3조4천억 원을 투자했습니다.<br /><br />최근에는 스타벅스코리아 지분 17.5%를 4,700억 원을 주고 추가 매입에 나섰는데요.<br /><br />'신세계 유니버스'를 꿈꾸며 신산업 확대에 방점을 찍은 것으로 보이는데요.<br /><br />급변하는 유통업계에서 확실한 주도권을 잡겠다는 전략이겠죠.<br /><br />정 부회장, 올해 초 지지 않는 싸움을 하겠다, 반드시 이기는 해를 만들겠다고 선언했는데, 신세계가 선보일 온·오프라인을 통합한 새로운 생태계는 어떤 모습일지 궁금해집니다.<br /><br />올림픽이 한창인 가운데 재계 총수들도 뜨거운 여름을 보내고 있죠. 기업마다 자신이 맡은 선수단을 물심양면으로 돕고 있는데요.<br /><br />선수들의 메달 색깔과 상관없이 아낌없는 응원과 지지로 우리 국민들이 모처럼 하나가 됐으면 좋겠습니다.<br /><br />이번 주 CEO 풍향계는 여기까지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
Buy Now on CodeCanyon